엄마, 과학자도 실패해요?

[사진]셋빼오빠 학운산방 거실에서 - 2008.2.24 - 1000x669
엄마, 과학자도 실패해요?
-엄마, 과학자도 실패해요?
-그럼, 지승아. 과학자도 실패할 때가 있지.
-실패해도 점점 과학자가 돼요?
-그럼, 끝까지 노력하면 과학자가 될 수 있지. 에디슨도 많이 실패했었던 걸!
TV에서 오렌지에 전도체를 꽂아 서로 연결해서 꼬마전구에 불을 켜는 장면을 본 기억이 납니다. 오렌지로 전구를 밝힌다는 건 거의 마술 같은 일이지요. 레몬즙으로 배를 움직인다는 내용이 동화 <서커스 대 작전> - 교원 월드픽쳐북- 에 나오는 데 아마도 레몬전지라는 과학적 근거를 가진 상상력이 아닌가 합니다.
전해질 용액에서 서로 다른 금속 사이에 전자가 이동하고 그 전자의 이동으로 전기가 발생하는 마술 같은 실험을 꼭 해보고 싶었습니다.
지승이가 과학에 관심이 많아서 오렌지 전지 실험을 아주 좋아할 것 같았습니다 문구점에서 아연판과 동판을 사서 3cm, 4cm정도의 직사각형으로 잘랐습니다. 오렌지의 양쪽에 홈을 내고 거기에 아연판과 동판을 꽂았습니다. 집게 전선 두 개를 각각 아연판과 구리판에 연결하고 나머지 한쪽씩은 꼬마전구 소켓에 연결했습니다. 마지막 집게 한 쪽을 소켓에 연결할 땐 점말 불이 켜질까 기대 반 의심 반이었습니다. 왠지 불이 켜지지 않을 것 같은 생각이 자꾸 드는 겁니다. 아니나 다를까 전선을 다 연결해도 불이 켜지지 않는 겁니다. 인터넷에서 찾아 본 것과 다르게 한 것은 전구와 금속판 사이에 전류계를 연결하지 않았다는 것 뿐인데, 꼬마전구는 묵묵부답이었습니다.
아연판과 구리판의 위치도 바꿔보고 오렌지에 닿는 금속판의 면적도 다르게 해 보았지만 변화가 없었습니다. 혹시 전구 필라멘트가 끊어졌나 하여 건전지에 연결해 보았더니 전구에 불이 들어 왔습니다. 전구에도 이상이 없는 거죠.
실망해서 실험을 끝냈는데, 나중에 지윤이 학교 과학실 담당 선생님 설명으로는 동판과 아연판이 코팅이 되어 있어서 그럴 수도 있으니 금속을 불에 그슬려 코팅을 제거 한 후 다시 실험을 해 보라 하셨습니다. 오늘 아이들이 하교하면 동판과 아연판을 불에 그슬려서 혹시 있을지 모르는 비닐코팅을 제거 한 후 다시 실험을 해봐야겠습니다. 비닐막이 있을 수도 있다는 가정아래 금속을 불에 그슬려 보면 또 다른 사실 하나를 도출해 내겠지요. 비닐은 불에 타고 쇠는 불에 타지 않는다는 것을요.
실험하기 딱 좋은 계절입니다. 춥지도 않고 덥지도 않은 이런 계절엔 야외활동을 많이 하는 것이 좋지요. 돋보기로 먹지 태우기나 가로등 밑의 그림자 놀이, 자석으로 흙 속에 있는 쇳가루 찾기 등은 따뜻한 봄날에 하기 딱 좋은 과학놀이입니다. 매미자석이 척 붙지 않고 ‘치르르르 ’하며 붙는 이유를 알아보는 것도 재미있겠네요.
결과에 상관없이 과정에서 즐거운 과학놀이를 통해 에디슨을 꿈꾸는 과학동이들이 쑥쑥 성장하는 봄이 되길 바랍니다.
2008년 4월 15일
지승이가 과학의 달 행사에서 동상 받아 온 다음 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