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 삽살개와 토종 장닭
솔농원 에는 두 마리의 한우와 두 마리의 개와 한 마리의 토종 닭을 키우고 있습니다. 모두 부모님이 먹이를 주지만 아버지는 무게가 나가는 소를 중점적으로 키우고 어머니께서는 삽사리와 시베리아허스키 계통의 잡종개의 먹이를 주신답니다. 그런데 솔 농원에서 키우는 동물 중에서 삽사리와 장닭은 앙숙이랍니다. 닭 쫓던 개라는 소리도 있는데 이상하게 삽사리는 토종 장닭에게 꼼짝 못 한답니다. 먹이를 닭이 뺏어 먹어도 멀뚱멀뚱 거리고, 또 닭이 개를 못 살게 굴어도 별 저항을 하지 않는 게 이상하기도 하고 삽사리가 좀 불쌍하기도 합니다.
근데 요 위에 장닭은 질투심도 많은 녀석 입니다. 어머님이 삽사리 밥 주면 질투가나서 어머님께 부리와 발로 공격을 하기도 한답니다. 닭장에 들어가래도 안 들어가고 아무튼, 어머님에게 모이를 얻어 먹으면서 어머니 한 테 반항하는 장닭의 심보를 알다 가도 모르겠습니다. 어머님이 요 녀석들을 키우는 이유를 알면 이 세상의 외할머니들이 외손자와 손자를 생각하는 깊은 사랑을 알 수 있기도 합니다.
어머이 힘든데 닭하고 개하고 키우지 말아! 그러면 어머님은 말씀 하신답니다. 농사 짓는 집에서 짐승은 키워야 한데이...... 왜냐하면...... 음식 남은 거로 키우면 되고...... 소 안 키우면 구정물 처리하는 것도 힘들어...... 이런저런 이유들은 진정한 농사꾼의 가슴이라면 모두 맞는 말씀 이십니다. 그래도 힘드시니깐 안키우시는게 좋을 것 같은데 이 말씀을 하시면 어찌 할 수 없습니다.
"지윤이 지승이가 시골 외갓집이라고 오는데 소나 닭도 보고 그래야지 ......짐승이 없으면 애들이...... "
그랬습니다. 솔직히 농사짓는 외갓집 시골이라고 왔는데 소도 닭도 개도 없이 농사 짓는 시골에 대하여 별다른 흥미를 느끼지 못 하겠지요. 어쩌면 지윤이 외할머니는 우리 시대에 마지막으로 살아계신 농사 짓는 외갓집 할머니들의 사랑이란 생각이 듭니다. 그 사랑을 앞으로는 대한민국 어느 시골마을 에서도 느낄 수 없는 날들이 빨리 찾아 올까 봐 솔직히 두렵습니다. 농촌에서 도시에서 앞으로 수 없이 나타날 신식 외할머니들은 뭐가 달라도 달라져 있으리라 생각 합니다. 하긴 신식 외할머니의 손자 사랑에 그 나름의 방식대로 신식 손자들이나 외손자들은 또 나름의 생존철학과 외할머니에 대한 사랑을 말하는 방식을 개발하고 그러겠지만 말입니다.
그래도 자연 속에서 농사지으며 살아오신 외할머니의 손자 사랑이 아주 오래오래 지속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우리 외할머니가 그랬고 지윤이 지승이 외할머니가 그렇게 살아 왔듯이 앞으로 나타날 신식 외할머니들도 구식 외할머니가 전수해준 농촌의 서정이 담긴 그 사랑의 가슴만은 대대로 전승해서 그 옛날 지윤이 지승이 외할머니의 손자손녀 사랑을 이 땅에서 오래오래 듣고 보았으면 좋겠습니다.
쿠~ 어제는 음력으로 12월 1일 내가 태어난 날이라고 어머님이 그랬습니다. 그 날도 오늘처럼 화창하고 맑은 하늘이었다고...... 그 날 처럼 맑은 날 솔농원을 바라보며 먼 훗날 지윤이 지승이 한 테 외할머니와 외삼촌은 어떤 추억의 영상으로 기억 될련지 생각해 보았습니다. 참 포근하고 따뜻한 외할머니와 외삼촌 같은 막내 외삼촌으로 기억되었으면 좋겠습니다.
소구리 하우스에서 지윤 외삼촌^^
트랙백 주소 :: http://www.harihouse.co.kr/trackback/123
댓글을 달아 주세요
지켜야할 가치를 위해, 해맑은 웃음을 위해
엄마로서는 사회적 정의보다 사회적 위치를 척도로 하기 쉽습니다. 엄마로서는 객관적 형평성보다 주관적 이해관계를 잣대로 쓰기 쉽습니다.
엄마로서는 아이를 위해 옳은 것 보다 아이에게 좋은 것을 선택하기 쉽습니다.
모든 엄마가 그렇지는 않지만 제가 엄마일 땐 그런 실수를 할 때가 많아 굳이 스스로를 선생님이라 칭하며 돌아보고자 함입니다.
시험 성적이 나쁜 아이를 두고 엄마로서 생각했습니다.
'야, 큰일이다. 계속 이렇게 못하면 어떡하지!'
시험 성적이 나쁜 아이를 두고 선생님으로서 생각합니다.
'집중력이 부족했구나. 어떻게 집중력을 키워줄까?'
시험 성적으로 놀림 받은 아이를 두고 엄마로서 말했습니다.
'다음엔 잘 봐서 놀린 친구 코를 납작하게 해줘.'
시험 성적으로 놀림 받은 아이를 두고 선생님으로서 말합니다.
'다른 사람의 약점을 말하는 건 옳지 않아, 사과 하라고 할게.'
시험 성적에 연연해 하지 않는 아이를 두고 엄마로서 말했습니다.
'사람들은 대부분 공부 잘하는 아이를 더 좋아해.'
시험 성적에 연연해 하지 않는 아이를 두고 선생님으로 말합니다.
'성적은 중요하지 않아. 니가 뭘 몰랐는지 알아보는 게 더 중요해.'
성적으로 사람을 분류하는 시대에 사는 엄마로서 말했습니다.
'공부를 잘 해야 나중에 할 수 있는 일이 더 많아져.'
성적으로 사람을 분류하는 시대에 사는 선생님으로 말합니다.
'네 꿈을 이루기 위해 필요한 지식을 얻는 게 공부란다.'
지윤이와 지승이는 들꽃 같은 아이들입니다. 들꽃처럼 자생력 있고 들꽃처럼 흐드러지며 들꽃처럼 주변에 어울리며 살아가라고 들꽃처럼 키우려 했습니다. 수천 수만년을 피고 지는 역사를 가진 들꽃처럼 키우려는 꿈을 꾸었건만, 겨우 초등학교 3학년 1학기 중간고사 결과를 두고 고민합니다. 다른 아이들이 과학 9개 틀렸다고 우리 아이를 놀렸기 때문입니다. 같은 일에 정의는 하나일 터인데, 그 정의라는 것도 입장에 따라 해석이 달라 질 수 있다는 것도 이 일을 통하여 절감하게 되었습니다.
지윤 지승이 들고 있는 꽃은 냉이꽃입니다. 지윤 지승이 여섯 살 때 외갓집 텃밭에 난만한 냉이꽃을 뿌리째 캐서 꽃다발을 만들고 기뻐하는 모습입니다. 냉이가 꽃이 필 만큼 자라면 줄기가 질겨서 꺽이지 않으니 뿌리째 캔 것입니다. 물론 손엔 흙 묻고 저 꽃다발을 갖고 탔으니 차안에도 흙이 떨어졌겠지요. 아마 그 손 씻지 않고 간식도 먹었을 거고 차에 오는 동안 졸리다고 눈도 비볐겠지요.
다음에 외갓집 갔을 때는 그 냉이 밭을 갈아 엎고 다른 씨았을 뿌려놓았을 겁니다. 지윤 지승은 자기네 꽃밭이 없어졌다고 속상해 했습니다. 그러나 우리 아이들 맘 속에 있는 아름다운 냉이 꽃밭은 살아가면서 외갓집이 그리울 때마다 하얗게 피어나겠지요.
내 아이들이 관상용으로 재배되는 화려한 장미가 아니라 겨울 눈 속에서 싹을 준비하는 꿋꿋한 들꽃 씨알이 되길 바랍니다. 그러기 위해 엄마로서 때론 선생님 마음을 스스로 일깨우면서 아이들을 돌보겠습니다.
-아버지는 백 명의 스승과 같고
어머니는 백 명의 아버지와 같다-
지윤 지승아 엄마로서 나의 짐이 무거우나 그 짐을 지고 가는 길은 행복하단다. 사랑해~~~ 그리고 마음 맑은 너희가 자랑스러워.